본문 바로가기

Web

(4)
WebBrowser 웹브라우저는 기본적으로 html,css,js 코드를 가지고 웹페이지를 그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브라우저마다 차이는 있지만, 공통적인 구조는 크게 7가지로 구성되어있었습니다. 첫 번째로 주소 표시줄, 이전/다음/새로고침 버튼 등 웹페이지를 제외하고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User Interface 두 번째 HTML과 CSS를 파싱하여 요청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렌더링 엔진, 세 번째 유저 인터페이스와 렌더링 엔진을 연결하는 브라우저 엔진 네 번째, 각종 네트워크 요청을 수행하는 네트워킹 파트 다섯 번째, 체크박스나 버튼과 같은 기본적인 위젯을 그려주는 UI 백엔드 파트 여섯 번째, 로컬 스토리지나 쿠키와 같이 보조 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트 마지막으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실행하는 인터프리터가 있습..
HTTP HTTP란?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다. 즉 Hypertext 인 HTML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규약을 의미한다. Web browser와 Web server가 통신할 때 사용하는 통신 규칙 처음 발표한 HTTP는 매우 단순한 통신 규칙이었습니다. 그러나 웹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단순한 HTTP의 기능만으로는 성능, 보안, 안정성을 확보하는것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HTTP는 보다 풍부한 기능을 가진 프로토콜로 발전했습니다. 오늘날에는 단지 HTML과 같은 텍스트 파일뿐만 아니라 이미지, 오디오,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하는 인터넷에서 가장 중요한 통신규칙이됐고, 웹을 넘어서서 인터넷이 동작하는 근간이라고 할 수 있..
Server / Client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웹을 포함한 인터넷에서 동작하는 모든 서비스들을 구성하고 있는 가장 큰 틀의 뼈대이므로 중요한 개념입니다. 클라이언트는 고객, 갑이라는 뜻이 있고, 서버는 을이라는 뜻을 가지고있습니다. 클라이언트는 데이터를 요청하는 노트북, 데스크탑, 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고, 서버는 다수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아 요청받은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응답해주는 컴퓨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하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에 응답하는 관계입니다. 이제 웹상에서 클라이언트 서버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구조부터 알아보겠습니다. 클라이언트 컴퓨터에는 하드웨어 즉, 기계 자체가 있고, 그 위에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운영체제위에 웹브라우저라고하는 웹클라이언..
Web 웹이란? 웹이란 무엇인지 설명하기에 앞서 인터넷과 웹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웹은 월드와이드웹의 줄임말이고 인터넷위에서 동작하는 여러가지 서비스 중 하나로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통해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 할 수 있는 전세계적인 정보 공간을 말하며 HTTP 프로토콜을 통해 HTML 문서를 교환하는 전송 방식을 말하기도 합니다. 인터넷은 네트워크통신이 되는 환경 자체를 의미하는 용어로 웹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인터넷에는 웹 이외에도 여러가지 서비스들이 동작합니다. 대용량 파일을 주고 받기위한 FTP(File Transfer Protocol) 이메일을 전송하는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네트워크 모드를 관리하는 SNMP(Simple Network Managem..